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입술 트고 물집 바이러스?

by §£*&루비의 지혜&*£§ 2023. 10. 27.
반응형

어느 날 무리해서 피곤하다 싶을 때, 입과  코 주변에 물집에 잡힌 적이 있나요? 병원에 가보니 헤르페스 바이러스라고 하시나요? 헤르페스 바이러스 1형과 2형이 있습니다. 무슨 차이가 있을 까요?
먼저 헤르페스의 형태는 작은 물집들이 모여 입술부근과 성기 부근에 납니다. 또한 따끔따끔하기까지 합니다.

 

헤르페스는 어디에 나타날까?

헤르페스 1형은 주로 입술부근에 나타나게 됩니다. 작은 수포 물집의 형태로 다른 사람의 점막에 닿게 되면 옮게 됩니다. 물집이 있는 사람과 립스틱을 같이 바르는 것과 같이 접촉이 있게 되면 전염이 되는 것입니다.

헤르페스 2형은 주로 성기부근에 나타나며 구강성교를 통해 입에 옮게 되기도 하니 헤르페스 2형이 입에서 나타나기도 합니다. 마찬가지로 헤르페스 1형이 성기부근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헤르페스 1형과 2형의 구분의 무의미한 부분이 이 때문입니다.

 

헤르페스 성병일까?

헤르페스 1형은 성병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또한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인구 90% 정도가 갖고 있다는 이야기가 있을 만큼 흔합니다.

헤르페스 2형은 보통 성기부근에 나타나며 성병으로 분류됩니다. 다만 구강성교로 인한 헤르페스 2형이 입술부근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헤르페스의 증상은 어떨까?

헤르페스에 전염되었다고 하더라도 증상이 바로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잠복기를 거치다가 증상이 나타납니다. 증상은 가려움, 수포 물집 증상, 배뇨 시 통증, 질의 분비물, 미열, 두통 등이 있습니다. 헤르페스는 물집이 자연스레 터지고 피가 나고 2~3주 내 딱지가 떨어지면서 증상이 호전됩니다.


헤르페스 입술포진

 

헤르페스는 완치가 될까?

피곤할 때, 면역이 약해질 때 반복적으로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도 초기보다는 증상이 덜하고 빨리 좋아지기도 합니다. 헤르페스가 증상이 호전되었다고 해서 완전히 나은 것은 아닙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몸속에 숨어 있게 됩니다. 헤르페스가 자주 발생하지 않도록 몸 건강관리가 필요합니다. 증상완화 방법으로 물집의 조짐이 보인다면 아시클로버 연고제를 바릅니다. 정확한 진료와 처방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헤르페스의 유의점

헤르페스 증상이 있는 임신부라면 아이에게 옮기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임신 전에 헤르페스에 걸린 적 있는 산모에게서 나온 아기는 감염될 가능성이 아주 낮습니다. 그러나 임신 중 헤르페스에 걸린 산모는 분만 시 신생아에게 감염 시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헤르페스는 신생아에게 뇌수막염 등을 일으실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산모는 음부의 포진이 있다면 의사와 충분한 상의를 하고 제왕절개술로 분만을 하는 것을 고려합니다. 따라서 임신을 계획 중이라면 헤르페스 검사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헤르페스 증상이 나타난 경우 옮겨질 수 있기에 관계 시 조심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로 콘돔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남성콘돔도 있으며 여성콘돔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헤르페스 증상이 있을 때는 관계를 피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