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트레스를 받으면 위가 아프게 된다. 위장염을 달고 살다가 요새는 스트레스 관리를 해서 배가 아플 일 이 없었다. 하지만 최근 소화가 안 되는 느낌이 들고 위에 음식이 머물러 있는지 답답함이 들었다. 위장염이 걸린 거 같았다. 알아보니 겨울에도 위장염을 호소하는 이유가 있다고 한다. 바이러스 위장염을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해 알아보자.
<겨울 식중독 증상은?>
여름철에만 식중독이 걸리는 것이 아니다. 한 겨울에 식중독을 유발하는 것이 있다. 바로 "노로바이러스"이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1∼2일의 잠복기를 거친 뒤에 복통, 고열, 근육통, 두통, 설사, 구토 등의 식중독 증상이 발생한다. 이후 2∼3일 동안 증상이 이어지며 회복된다. 몸살의 증상과 비슷하여 몸살감기약을 먹기도 하는 실수를 한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됐는지 확실히 알기 위해서는 검사를 따로 받아야 한다. 회복된다고 하지만 주의할 것이 있다. 바로 전염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 노로바이러스는 무엇인가?>
노로바이러스는 사계절 걸릴 수 있으나, 겨울철에 특히 발생한다. 추운 겨울에 장기간 생존하며, 감염력이 더 높아지는 노로바이러스의 특징 때문이다. 노로바이러스는 영하 20℃에서도 오래 살아남고, 60℃에서 30분 동안 가열해도 감염성이 유지된다. 일반 수돗물의 염소 농도에서도 그 활성이 없어지지 않을 정도로 저항성이 강하다. 그래서 물을 되도록이면 끓여먹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노로바이러스에 왜 걸리는 가?>
급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전염성 바이러스인 '노로바이러스'. 겨울철 복통을 호소하는 주된 이유이다.
노로바이러스의 주된 감염 경로는 오염된 지하수, 채소나 과일, 조개류 등을 섭취했을 때다. 또 바이러스에 이미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그러기에 어린이집이나, 학교 같이 단체 급식운영을 하는 곳에 더 조심해야 한다. 채소류나 생선, 굴, 조개 같은 해산물 익히지 않고 먹으면 감염될 수 있다. 사람 간의 감염으로도 발생하며 감염된 사람의 분비물이 소량만 묻어도 충분히 전염될 수 있다.
<노로바이러스 예방하기>
노로바이러스의 항바이러스제나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은 없다. 즉 약이 없다는 것이다. 다행히 보통 사람들은 2일 내로 증상이 자연적으로 회복한다. 하지만 심한 탈수가 나타난다면 문제가 된다. 면역력이 약한 노인과 어린이 등이 탈수가 심해지면 위험해질 수 있기에 병원의 치료가 필요하다.
노로바이러스 걸리지 않기 위해, 모든 음식물을 익혀 먹는 것이 좋다. 채소나 과일은 여러 차례 깨끗이 세척해주는 게 좋다. 과일, 채소류는 물에 담갔다가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서 먹는다. 특히 굴이나 조개 등 어패류는 아무리 신선하다고 해도 익혀 먹고 지하수나 수돗물도 끓여 마셔야 한다. 식재료를 가열할 경우에는 80~85℃에서 약 5분, 100℃에서 약 1분간 가열하면 바이러스는 사멸된다. 외출 후나 화장실을 사용한 후, 조리를 시작하기 전 후, 기저귀 교체 후 손을 깨끗이 씻는 습관을 들이자. 손을 씻는 것은 바이러스의 감염을 막는다. 바이러스에 회복한 후에도 3일에서 2주까지 전염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회복한 후 3일간은 다른 사람과 함께 음식을 먹는 데 주의한다.
반응형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엉덩이 튼살 제거, 관리 방법 (0) | 2022.12.01 |
---|---|
"생리 후 갈색 냉” 무슨 신호일까? (1) | 2022.11.30 |
잘못된 브래지어 착용으로 가슴이 쳐진다고? (0) | 2022.11.22 |
알고 쉽게! 중년 살 빼고 건강챙기자! (0) | 2022.11.16 |
나도 ‘성인 ADHD’ 일까?_자가진단 (0) | 2022.11.05 |
댓글